[월간시민 5호]

관리자
2024-09-25
조회수 113

💌 [월간시민] '담대하고도 담담하게' 변화를 만들기 위한 도전과 용기들
  
“담대하고도 담담하게” 
변화를 만들기 위한 도전과 용기들

비영리단체에게 필요한 활동 조건에 대해 많이 생각하게 되는 요즘입니다. 대화형AI에게 굳이 물어보지 않더라도 지레 짐작할 수 있는 것들이겠지만, 그래도 한번 물어보았습니다. 명확한 사명과 목표, 법적 및 제도적 지원, 사회적 인식, 재정적 안정성, 효과적인 운영 구조, 투명성과 책무성, 협력 네트워크, 교육과 훈련 등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. 새삼스러울 것 없는 내용이지만 이 새삼스러울 것 없는 것들을 채워나가기가 점점 녹록치 않은 현실입니다. 사단법인 시민 역시 빗겨갈 수 없는 상황들을 직면하고 있습니다. 담대하고도 담담하게 직면할 수 있는 도전과 용기는 무엇으로 채워질 수 있을까요?

사단법인 시민의 2024년은 ‘시민의 Next Stage’를 만들기 위해 역설적인 표현이지만 조용하고도 분주합니다. 당장 다음달에는 새로운 공간으로의 이전을 앞두고 있습니다. 11월은 창립 이래 첫 후원행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.  그리고 홈페이지와 CI 리뉴얼도 앞두고 있습니다. 조직의 운영기반과 재정기반을 다지는 작업도 계속 하고 있습니다. 올해의 이러한 여정들은 과연 몇 년 뒤에 어떤 장면으로 기억될까요? ‘시민의 다음’을 만들기 위한 여정은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. 아무 것도 안 하면 아무 변화도 일어나지 않을테니까요.

담대하고도 담담한 마음을 다시 다잡아보는 9월입니다.



[시민사회 제도정책 소식]  

🔔 9월 9일(월), 제22대 국회 시민정치포럼이 출범되면서 국회와 시민사회 간의 협력방안과 구체적인 실천과제를 모색하기 위해 [민주주의 복원을 위한 국회와 시민사회 협력 방안] 토론회가 열렸습니다. 👉 자세히 보기
📚 토론회 자료집 보기 (클릭)
📰 토론회 취재 기사보기


[인사이드 시민] 시민의 사람(人사이드), 시민 속으로(inside) 좀 더 깊게
여섯번째 인터뷰이는 정란아 이사(한국시민사회지원조직네트워크 정책위원장)입니다. 정란아 이사님은 많은 분들에게는 (전)서울시NPO지원센터 센터장으로 익숙할텐데요. 자유인이 된 지금, 정란아 이사님이 이야기하는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새로운 상상력의 필요성, 엣지와 함께 꿈꾸는 활동가의 성장 등 시민사회 활성화에 대한 고민 지점과 활동을 만나보세요. 👉 자세히 보기

9월 25일 제6차 이사회가 진행되었습니다. 11월에 진행될 후원행사 준비 논의와 모금계획에 대한 논의,  사무실 이전 계획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습니다.

[활동가 및 단체 역량강화 교육]  
 ⦁ 대구시민공익활동지원센터(10/8) 비영리 성과측정과 평가의 이해 | 내용보기
 ⦁ 경기공익활동지원센터 북부(10/10) 비영리 법적책무성, 비영리회계 | 내용보기
 ⦁ 경기공익활동지원센터 남부(10/11) 비영리 법적책무성, 비영리회계 | 내용보기
 ⦁ 대전NGO지원센터(10/15) 비영리 회계담당자 책무와 회계실무 | 내용보기
🌿 힐링WE:RO회원단체이자 운영위원단체로 함께 하고 있는 '한국시민사회지원조직네트워크(약칭, 지원넷)' 하계워크숍을 이달 초 다녀왔습니다. 👉자세히 보기


사단법인 시민
www.simin.or.kr | simin@simin.or.kr | 070-7733-3925~6
서울시 종로구 동숭길 68, 3층 (호은빌딩, 동숭동)
수신거부 Unsubscribe
0 0

공익제보_국민권익위원회

이용약관

개인정보처리방침